'
'
'
'
'
'
'
'
'
'
'
'
'
'
오십견은 50세에 많이 온다고 해서 오십견이라는
이름이 붙었지만 최근에는 유아부터 시작해서
20대에도 많이 오는 병이 되었다.
원인으로는 장기간에 걸친 근육이나 인대의
손상, 목 디스크 등으로 장기간 팔다리를
움직이지 못하였을 때 발생하며 관절염,
당뇨병 등 내과적 질환에 의한 경우도 있다.
하지만 특별한 원인이 없이 노는 경우도 종종 있다.
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나 팔을 위로 올리거나
뒤로 젖힐 때 운동의 제한과 함께 극심한
통증을 을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머리를
감는다거나 세수를 하기 어려워지게 되고
숟가락 질을 못할 정도로 악화되어 일상생활을
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.
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앉아 있을 때의
올바른 자세를 들 수 있다. 자연스러운 경사각을
이룰 수 있도록 해주시고, 너무 지나치게
차렷자세를 취하는 것은 오히려 어깨근육의
긴장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
오십견 예방과 치료를 위한 체조
하나,손을 등 뒤로 돌려서 깍지를
끼고 목을 천천히 돌린다
열,손 끝이 무릎 쪽으로 향하게 한
상태로 엎드려 천천히 허리를 낮춘다
열하나,팔굽을 굽힌 채 바닥에 엎드린다.
얼굴을 좌우로 돌려준다.
열둘,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머리 뒤에
두고 머리를 밑으로 당겨 목을 편다.
둘,깍지 낀 손을 밑으로 당기면서 목을
앞으로 숙였다가 뒤로 젖힌다.
셋, 깍지 낀 손을 등 위로 들어 올린다.
넷,그림의 자세에서 오른손을 왼쪽으로
당기면서 머리를 좌측으로 젖힌다.
이때 오른쪽 팔꿈치가 많이
굽히지 않도록 주의한다
다섯,오른손으로 왼쪽 팔꿈치를
잡아 아래로 당긴다.
여섯,깍지 낀 손을 등 뒤로 돌리면서
위로 들어올린다
일곱, 깍지 낀 손의 손바닥을 앞으로
향한 채 팔을 쭉 뻗는다. 이때 배는
약간 당겨 넣는다.
여덟,깍지 낀 손을 머리 위로
쭉 뻗으며 뒤로 젖힌다
아홉,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
어깨를 당겨 올린 후 힘을 뺀다
하나, 국화차가 좋다. 국화꽃은 차로 마시게
되면 숙취, 두통, 어깨결림, 혈압
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.
둘,뻐근한 어깨의 근육을 이완시키는데
갈근탕을 이용한다. 갈근탕은 갈근,
마황, 계지, 작약, 감초 등으로 이루어졌다.
셋, 잘 때 어깨를 베게를 이용해
늘 따뜻하게 감싸준다
넷, 비타민 B1과 칼슘, 단백질의
섭취를 많이 한다.
다섯,적당한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.
여섯,독서나 PC를 이용한 일을 장시간 하게
될 경우 1시간에 5분 정도 휴식과 함께
가벼운 운동을 해준다
'건 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비타민 10대 밥상 (0) | 2006.02.21 |
---|---|
[스크랩] 한국인 장수음식 8가지 (0) | 2006.02.21 |
[스크랩] 내 몸 상태 알아보기!!! [노화측정법] (0) | 2006.02.20 |
자생풍란들 (0) | 2006.02.20 |
[스크랩] 다시마의 비밀 (0) | 2006.02.20 |